JPG는 보통 이미지 파일이고, PNG는 화질 좋고 투명하게 표현이 가능한 이미지 파일 정도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블로그를 하면서 여러 이미지를 제작하다보니 SVG파일이라는 것을 접하게 되었고, 무슨 차이인지 궁금해져서 알아보았습니다.
SVG, PNG, JPG 파일에 대한 내용과 차이점, 어떤 때 SVG 파일을 사용하면 좋을지 알아봅니다.
SGV PNG JPG 정의, 차이점 비교
웹사이트나 블로그 운영 시 이미지 파일 형식은 디자인 품질과 속도 최적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각각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겠습니다.
SVG (Scalable Vector Graphics)
SVG는 벡터 기반의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선과 도형 등 수학적 좌표를 이용해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보통 알고 있는 픽셀의 개념이 아니라서 벡터의 가장 큰 특징은 이미지 크기를 얼마나 크게하더라도 깨지지 않습니다.
SVG의 주요 특성
- 무손실 확대/축소
- 크기를 변경해도 품질이 손실되지 않음.
- 해상도 독립적이라 어떤 기기에서도 선명하게 보임.
- 가벼운 파일 크기
- 단순한 그래픽일수록 파일 크기가 작아짐.
- 반응형 지원
- 화면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크기를 조정 가능.
- 텍스트 기반
- XML 기반으로 텍스트 편집기를 통해 수정 가능.
- 애니메이션 및 인터랙티브 기능
- HTML, CSS, JavaScript와 함께 애니메이션 구현 가능.
SVG의 활용 사례
- 로고, 아이콘, 차트, 그래프
- 반응형 웹 디자인 요소
- 애니메이션이 필요한 그래픽
PNG (Portable Network Graphics)
PNG는 비트맵 기반의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픽셀로 만들어진 이미지 중에 화질이 좋고, 다른 파일과 다른 점이라면 바로 "배경이 투명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죠.
PNG의 주요 특성
- 고품질 이미지
- 손실 압축이 없어서 이미지 품질이 매우 뛰어남.
- 투명도 지원
- 알파 채널을 통해 투명 배경을 지원.
- 풍부한 색상 표현
- 사진과 복잡한 이미지에서 디테일한 색상 표현 가능.
- 파일 크기
- 복잡한 이미지일수록 파일 크기가 큼.
PNG의 활용 사례
- 투명 배경이 필요한 로고, 아이콘
- 정적 배너와 복잡한 그래픽
- 고품질의 이미지 디테일이 필요한 경우
JPG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G는 압축이 가능한 비트맵 기반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주로 사진에 사용됩니다.
사실상 위 두 파일에 비교해서 특징은 없지만 용량은 적은 파일입니다.
JPG의 주요 특성
- 손실 압축
-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 손실 압축을 사용하며,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음.
- 작은 파일 크기
- 높은 압축률로 파일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음.
- 색상 표현력
- 색상이 풍부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
- 해상도 의존적
- 확대/축소 시 품질 저하 가능.
JPG의 활용 사례
- 사진과 같은 복잡한 디테일을 표현하는 이미지
- 파일 크기 최적화가 중요한 경우
- 배경이 필요 없는 단순 이미지
SVG, PNG, JPG 차이점 비교
SVG, PNG, JPG에 대한 비교를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웹사이트나 블로그에서 이미지 파일 형식을 선택할 때는 사용 용도와 파일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SVG: 로고, 아이콘, 차트 등 단순 그래픽과 반응형 디자인에 적합.
- PNG: 디테일한 그래픽이 요구되면서 투명 배경이 필요할 때.
- JPG: 사진과 복잡한 색상 표현이 중요한 경우, 파일 크기를 줄이는 데 유리.
결론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비전문가인 제가 판단하기로는 단순한 이미지면 SVG, 복잡한 이미지이면 JPG가 좋다는 판단입니다.
물론 여러가지 특성이 있지만 사실 블로그는 로딩 속도가 중요하고, 대단한 퀄리티의 이미지를 요구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PNG의 특성은 블로그 이미지로는 적합하지 않아보입니다.
블로그를 운영하시는데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